하나님의 은혜스러운 말씀을 듣고
은혜를 받길 기원합니다.
사두개파 사람들(사두개인들)의 질문(마가복음12:18-23)에 대답을 하신 예수님의 가르치심(24-27절)을 들은 군중들은 감탄하였고(마태복음22:33, 현대인의 성경) 율법학자(서기관) 몇 사람은 “선생님, 옳은 말씀입니다!”하고 말하자 그 사두개파 사람들은 예수님께 감히 더 이상 묻지 못하였습니다(누가복음20:39-40, 현대인의 성경). 바리새파 사람들(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이 사두개파 사람들의 말문을 막으셨다는 말을 듣고 다 함께 모였습니다(마태복음22:34, 현대인의 성경). 그들 중에 곁에서 듣고 있던 한 율법학자(율법사)가 예수님이 대답을 잘하시는 것을 보고 예수님을 시험하려고 “선생님, 모세의 법 중에 가장 큰 계명은 어느 계명입니까?' 하고 물었습니다(마가복음12:28; 마태복음22:35-36, 현대인의 성경). 저는 오늘 이 부분의 말씀만 묵상하고 내일 예수님의 답변 말씀(마가복음12:29-31; 마태복음22:37-40)을 묵상하고자 합니다.
(1) 예수님의 가르치심을 들은 군중들이 감탄하였다(마태복음22:33, 현대인의 성경)는 말씀을 묵상할 때 몇몇 성경구절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이 이 말씀을 끝내시자 군중들은 그 가르치심에 몹시 놀랐다”(7:28, 현대인의 성경),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은 이 말을 듣고 예수님을 죽일 방법을 의논하였다.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예수님의 가르치심에 놀라므로 그들이 예수님을 두려워했기 때문이었다”(마가복음11:18, 현대인의 성경), "그의 말을 듣는 사람들은 다 그의 총명함과 대답하는 말에 감탄하였다”(누가복음2:47, 현대인의 성경), “그러자 모두 예수님에 대하여 감탄하고 그 은혜스러운 말씀에 놀라면서 '이 사람은 요셉의 아들이 아니냐?' 하고 수군거렸다”(4:22, 현대인의 성경).
(a) 저는 이 말씀들 중 특히 누가복음 2장 47절 현대인의 성경 말씀을 좀 더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12살이셨던(42절)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어린 예수님의 총명함과 대답하는 말에 감탄한 사람들은 바로 성전에서 만난 “선생들”(46절)이었기 때문입니다. 그 “선생들”에 대해 호크마는 결론적으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무튼 어린 예수께서 당대 최고 석학들과 함께 율법을 이야기하며 토론했다는 것은 실로 놀라운 일이었다”(호크마). 그리고 그 당대 최고 석학들이 감탄했다는 말은 거의 기절할 정도로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매우 놀랐다는 뜻임을 생각할 때 어린 소년 예수님의 입에서 나온 하나님의 지혜의 말씀 자체의 탁월성에 기이한 놀라움/감탄이었다는 것입니다(호크마). 그리고 예수님의 부모도 예수님을 발견했을 때 불과 12세에 불과한 소년이 당대의 석학들과 당당하게 토론하는 장명은 그들에게 놀라움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48절).
(b) 누가복음 4장 22절 현대인의 성경을 보면 예수님이 자라나신 고향 나사렛의 회당(16절, 현대인의 성경) 안에 모였던 사람들(20절, 현대인의 성경)은 모두 예수님에 대하여 감탄하고 “그 은혜스러운 말씀”에 놀라(22절, 현대인의 성경) “이 사람의 이런 지혜와 기적을 행하는 능력이 어디서 났느냐?”(마태복음13:54, 현대인의 성경)는 말씀을 생각할 때 예수님의 은혜스러운 말씀은 지혜의 말씀이요 능력의 말씀이라 생각되었습니다. 지혜의 하나님이시요 능력의 하나님이신 예수님의 은혜스러운 말씀 자체가 지혜요 능력이라 생각합니다. 그 말씀, 그분의 가르치심을 듣고 감탄한 회당 안에 모였던 사람들처럼 지금도 교회당에 모여 하나님의 종을 통하여 하나님의 지혜의 말씀이요 능력의 말씀인 하나님의 은혜스러운 말씀을 듣고 은혜를 받아 새 찬송가 200장 “달고 오묘한 그 말씀”을 하나님께 감사함으로 찬양드릴 수 있길 기원합니다: (1절) 달고 오묘한 그 말씀 생명의 말씀은 귀한 그 말씀 진실로 생명의 말씀이 나의 길과 믿음 밝히 보여 주니, (2절) 귀한 그 말씀 내 노래 제목이 되도다 모든 사람에 복 주는 생명의 말씀을 값도 없이 받아 생명길을 가니, (3절) 널리 울리고 퍼지는 생명의 말씀은 맘에 용서와 평안을 골고루 주나니 다만 예수 말씀 들어 복을 받네, (후렴) 아름답고 귀한 말씀 생명 샘이로다 아름답고 귀한 말씀 생명 샘이로다.
(2) 율법학자(서기관) 몇 사람은 “선생님, 옳은 말씀입니다!”하고 말하자 그 사두개파 사람들은 예수님께 감히 더 이상 묻지 못하였습니다(누가복음20:39-40, 현대인의 성경)는 말씀을 묵상할 때 호크마의 주석이 흥미롭습니다: “서기관들은 대부분 바리새파에 속해 있었다. 그들은 부활과 영생에 대한 믿음이 강했으며 사두개파 사람들과는 경쟁적 차원에 있었다. 이러한 신학적 견해 차이로 말미암아 예수를 올무에 빠뜨리려 했던 일(27-40절) 외에는 이 두 그룹은 항상 마찰을 빚어왔다. 본 구절에서 서기관들은 예수께서 자신들과 사상적 숙적(宿敵) 관계에 있던 사두개인들의 그릇된 주장들을 여지없이 훼파해 주신데 대하여선 크게 기뻐하였다”(호크마).
(a) 이 주석이 흥미로운 이유는 부활과 영생에 대한 믿음이 강한 대부분 바리새파에 속해 있었던 “서기관”(율법학자)들과 부활과 영생을 믿지 않는 사두개파 사람들의 숙적 관계 속에서 이미 바리새파 사람들(마가복음12:13, 현대인의 성경)은 예수님께 질문했다가 예수님의 답변 말씀을 듣고 말문이 막혀 버렸었는데(17절, 현대인의 성경) 이젠 사두개파 사람들도 예수님의 말씀을 책잡기는커녕 예수님의 대답에 놀라 말문이 막히고 말았다(누가복음20:26, 현대인의 성경)는 소식을 바리새파 사람들이 들었기 때문입니다(마태복음22:34, 현대인의 성경). 결국 바리새파에 속해 있었던 율법학자들이나 사두개파 사람들이나 그들의 공통(공공?)의 적이었던 예수님을 책잡으려고 질문들을 던져보았지만 예수님께서 그들 모두의 말문을 막으신 것을 생각할 때 우리도 예수님을 본받아 지혜의 말씀이요 능력의 말씀을 하나님의 지혜와 성령의 권능으로 바르게(옳게) 그리고 성실하게(예레미야 23:28) 말하고 전하므로 우리를 대적하여 우리를 책잡으려하고 함정에 빠트리려고 하는 무리들의 말문을 막게 하여 주시길 기원합니다.
(3) 바리새파 사람들(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이 사두개파 사람들의 말문을 막으셨다는 말을 듣고 다 함께 모였다(마태복음22:34, 현대인의 성경)는 말씀을 묵상할 때 저는 모임의 목적이 무엇인가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제가 그리 생각하게 된 이유는 바로 지금도 유익이 못되고 도리어 해로움이 되는 기독교인의 모임이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고린도전서11장 17절 말씀입니다: “내가 명하는 이 일에 너희를 칭찬하지 아니하나니 이는 너희의 모임이 유익이 못되고 도리어 해로움이라.”
(a) 저는 개인적으로 기독교인의 단체 모임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제가 그런 모임을 별로 좋아하지 않게 된 이유는 언젠가 이사야 1장 11-14절 말씀을 묵상하다가 하나님께서 이사야 선지자를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에게 “월삭과 안식일과 대회로 모이는 것(the calling of assemblies)도 그러하니 성회와 아울러 악을 행하는 것을 내가 견디지 못하겠노라”(I cannot bear your evil assemblies)(13절)고 말씀하신 것이 제 마음에 다가왔기 때문입니다. “대회”이고 “성회”인데 하나님께서 견디지 못하겠다고 하신 이유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악을 행하면서 대회/성회로 모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의 무수한 재물이 내게 무엇이 유익하뇨”(11절), “… 기뻐하지 아니하노라”(11절), “너희가 내 앞에 보이러 오니 이것을 누가 너희에게 요구하였느냐 내 마당만 밟을 뿐이니라”(12절), “헛된 제물을 다시 가져오지 말라 분향은 내가 가증히 여기는 바요 … 내가 견디지 못하겠노라”(13절), “내 마음이 너희의 월삭과 정한 절기를 싫어하나니 그것이 내게 무거운 짐이라 내가 지기에 곤비하였느니라”(14절). 혹시 지금 하나님께서는 우리 기독교인들의 모임을 보시면서 우리에게 이렇게 말씀하고 계신 것이 아닐까요? ‘너희의 무수한 예물이 내게 무엇이 유익하뇨?’, ‘내가 기뻐하지 않는다’, ‘너희가 내 앞에 보이러만 오니 이것을 누가 너희에게 요구했느냐 내 예배당만 밟을 뿐이다’, ‘헛된 예물을 다기 가져오지 마라 내가 가증히 여기고 내가 견딜 수가 없다, ‘내 마음이 너희의 집회와 모임을 싫어한다. 그것이 내게 무엇인 짐이다. 내가 지기에 곤비하다.’
(i) 여러분, 우리의 마음이 하나님께 받쳐지지 않으면서 드려지는 무수한 예물이 하나님께 무슨 유익이 있나요? 하나님께서는 그러한 예물을 기뻐하지 않으십니다. 그 예물은 하나님 보시기에 헛된 것입니다. 하나님은 가지고 오지 말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주님의 전에 올라와 함께 모여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면서 하나님께 헌금(예물)을 받쳐도 주님의 전을 떠나 세상에 살면서 악을 행하는 것을 하나님께서는 견딜 수가 없다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이렇게 우리가 세상에서 악을 행하면서 거룩한 주일 큰 예배당에서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모여서 찬양과 경배를 드리면서 우리가 “은혜”(?)를 많이 받았다고 한들 하나님께 무엇이 유익하겠습니까. 우리에게도 유익이 될 수가 없을뿐더러 오히려 그런 모임은 우리에게도 해로움이 될 수밖에 없는 모임입니다.
·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 성도들에게 “여러분의 모임이 유익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해가 되기 때문입니다”(고린도전서 11:17하, 현대인의 성경)하고 말한 이유는 그들이 교회에 모일 때 그들 중에 “분쟁”(divisions)이 있었기 때문입니다(18절). 그 분쟁은 그들 중에 “파당”(differences)으로 말미암았습니다(19절). 그리고 그 “파당”이란 부유한 성도들과 가난한 성도들을 교회가 “분열”(18절, 현대인의 성경)되 있음을 말합니다. 지금 수많은 교회들이 파당으로 인하여 교회 안에 분쟁과 분열이 있지 않습니까? 모이기만하면 다투고 싸우는 우리 기독교인들의 모임이 교회의 머리가 되시는 주님께 무슨 유익이 있나요?
(4) 바리새파 사람들 중에 곁에서 듣고 있던 한 율법학자(서기관)가 예수님이 대답을 잘하시는 것을 보고 예수님을 시험하려고 “선생님, 모세의 법 중에 가장 큰 계명은 어느 계명입니까?' 하고 물었다(마가복음12:28; 마태복음22:35-36, 현대인의 성경)는 말씀을 묵상할 때 저는 예수님이 시험받으신 말씀들이 생각났습니다. 그 말씀들이란 예수님께서 사역을 시작하시기에 앞서 마귀에게 시험받으셨던 말씀(마태복음4:1-11)과 사역을 마치시면서 십자가에 못박히셨을 때도 마귀의 종들인 지나가던 사람들과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과 장로들과 예수님과 함께 못박힌 두 강도들에게 시험을 받으셨던 말씀입니다. 이들의 시험이란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님 보러 ‘너 자신을 구원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즉, 그들은 예수님에게 십자가에 못박혀 죽지 말고 살라고 시험한 것입니다(27:39-44, 현대인의 성경).
(a) 그러나 이렇게 시험을 받으신 예수님은 죄는 없으셨다고 히브리서 4장 15절 현대인의 성경은 말씀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성경은 “주님은 몸소 시험을 받아 고난을 당하셨기 때문에 시험당하는 사람들을 넉넉히 도우실 수 있습니다”(2:18, 현대인의 성경)하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고린도전서 10장 13절 현대인의 성경 말씀입니다: “여러분이 당한 시험은 모든 사람들이 다 당하는 시험입니다. 하나님은 신실하신 분이시므로 여러분이 감당할 수 없는 시험당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시고 여러분이 시험을 당할 때에 피할 길을 마련해 주셔서 감당할 수 있게 하실 것입니다.”